전체 글51 명리학이 미신과 잡설로 전략 해버린 이유들 명리학으로 자신의 삶을 분석할 때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가요? 중요한 건 글자 그대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속세 명리학이 지금 미신과 잡설로 전략해버린 이유는 다름아닌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사회의 구조와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밝지 못한 사람들이 명리학의 알파벳이라 할 수 잇는 천간 열 개(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와 지지 열두 개(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차적으로 배합하여 만들어낸 예산 가지 경우의 수인 육십갑자의 글자만 가지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섹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무척 많이 있다. 이는 현실적인 상황을 살피는 사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명리학 이론만 보고 판.. 2020. 3. 25. 중국과 일본의 명리학 거장은 누굴까 19세기와 20세기를 지나며, 일본과 중국에서는 아베 다이장과 웨이첸리라는 명리학계의 슈퍼스타가 있다. 아베당이장은 중일 전쟁때일본군 종군기자로 중국에 파견되어, 전장의 살벌하고 비참한 현실을 봤다. 평소 명리학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정작 본업은 제쳐 두고 중국의 당.송.명.청 시대를 거쳐 내려온 어마어마한 학술 자료를 모으는데 전력을 다했다. 그렇게 모은 트럭 한 대분의 자료를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온 뒤, 그는 명리학 연구에 몰두해 스물두 권의 아베 다이장 전집을 완성했다. 그의 저술은 일본은 물론 한국까지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많은 명리학자들은 최근까지도 일본 추명리학에 근거해서 공부를 했다고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추며학 책을 꽤 쓰기도 했다. 그 근거와 바탕이 되었던 것이 대부분 아베 다이.. 2020. 3. 25. 명리학이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명리학은 미래를 알아맞히는 학문이나 점술이 아니다. 명리학은 운명의 이치에 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명리학은 오랫동안 한국 사회에서 점술이라는 오해랄 받고 있으며, 악사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전혀 대접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명리학은 인간에 대한 관심 즉 나와 너, 우리에 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알려는 마음에서 출발을 했다. 명리학뿐만 아니라 인간에 관한 모든 학문은 인간을 알고자 하는 절박함과 욕만에서 시작이 되었다. 심리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정신분석에 입문한 동기 역시 나를 알고 싶어서 였다. 내가 명리학에관심을 갖게 된 것 역시 나 자신을 알아야만 하는 상황에 몰렸기 때문이다.사실 나만 그런건 아니다. 명리학은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사람들이 절반쯤 되지만, 나머.. 2020. 3. 25.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