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

천간의 기,경,신,임,계 대해서 알아보자 천간의 기는 기토라고 읽는다. 음양 중 음에 해당하고, 오행으로 보면 토에 해당한다.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음토이다. 기토는 작은 땅으로, 정원 혹은 화분 안의 토의 기운이다. 소극적이고, 작은 땅이긴 하지만 어쨌든 명이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그래서 자신을 지키는 힘이 있고, 철저히 자기와 자기 가족을 방어하고 배려하며 연대감을 잘 조정한다. 그에 비해 무토는 양토이기에, 역마의 불안정성이 있지만, 강한 토의 기운으로 자기 확신과 안정감이 있다. 부모와 논쟁을 벌이더라도 자기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부모를 설득한다. 일간이 기토인 사람과 일간이 무토인 사람은 함께 있어야 한다. 물론 둘 사이는 좋지 않다. 그러나 함께 있어야 조화를 이룬다. 기토는 우물 안의 개구리다. 세상을 넓게 보지 못하고, 자신이 경험.. 2020. 4. 1.
천간의 병,정,무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천간에서 병은 병화라고 읽는다. 음양중 양에 해당하고, 오행으로 보면 황 해당한다.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양화이다. 양화는 큰불이다. ㅅ상을 다 태울 것 같은 산불, 무쇠도 녹일 수 있는 용광로의 불이다. 화는 어느 방향으로 튈지 알 수 없다. 화의 적극성과 활동성은 큰에너지이다.화는 세사을 바꾸려는 큰에너지가 있다. 병화는 사교적이고 친화적이다. 일간이 병화인 사람은 모든 일을 앞에 나서서 하는 경우가 많다. 병화가 많거나, 강한 병화의 기운을 갖고 있는 사람 옆에 있으면 절대 심심하지 않다. 좋은 뜻이든 나쁜 뜻이든 간에 사건 사고가 끊이질 않기 때문이다. 병병 병존은 활동 범위가 넓은 광역역마의 특성이 있다. 국내를 ㅈ집처럼 나다닐 수 있는, 즉 한 나라 정도는 휘젓고 다니는 역마의 강한 이동성이 있.. 2020. 3. 30.
천간중 을에 대해서 알아보자 을은 을목이라고 읽는다. 음양 중 음에 해당하고,오행으로 보면 목에 해당한다. 음양 오행의 관점에서 음목이다. 갑목이 자신을 확 드러내는 소나무라면, 을목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아파트 베란다에 놓인 화분의 작은 나무와 사람의 키를 넘지 않는 키 작은 나무다. 덩굴처름 위로 솟기보다는 옆으로 퍼지기도 한다. 일간이 을목인 사람은 겉으로 봐서는 일간이 갑목인 사람과 그 차이를 발견하기가 어렵다. 그렇지만 둘의 차이는 분명하다. 일간이 갑목인 사람이 명예 지향성이 강하고 스타일리시하다면, 일간이 을목인 사람은 수수하지 만 알짜배기를 챙기는 실속파이다. 갑목이 자기과시성이 강하다면,을목은 온유하고 섬세하다. 열 개의 천간 중에서 을목이 눈에 가장 띄지 않는다. 눈에 불을 켜고 겨우 배시시 웃고 있는 사람을 발견.. 2020. 3. 30.
천간의 첫번째 갑에 대해서 천간의 첫 글자인 갑은 갑목이라고 읽는다. 갑이 오행상 목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후의 글자를 ㅇ릭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ㄷ 음양으로서는 양에속한다. 그래서 양목이라고 한다. 양은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려는 힘이 강하다.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련느 만큼 공격이나 상처도 많이 받는다. 이들의 특징은 주저함이 없다는 것이다. 숨기고 싶어도 자신을 숨길수가 없다. 자신이 세상의 모든 것들에 대해 당당하다고 생각하는 무의식적인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일간이 갑목, 즉 양목의 기운이 선명한 사람들은 공부를 매우 잘한다. 특별히 학문에 대해 애정이 있는 것은 아닌데, 부끄러운 게 싫어서라도 공부를 잘한다고 한다. 양목의 힘이 크깅, 자기 확신이 강하다. 아이들 중에 엄마가 뭘 안다고 그래 라고 말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2020. 3. 29.
천간과 지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영어에서 알파벳이라는 고유의 문자 체계가 있듯이명리학에서는 간지,천간과 지지라는 스물두 글자의 고유한 문자가 있다. 간지는 명리학의 알파벳이다. 한자 때문에 명리학의 첫 단계를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우리가 명리학에서 익혀야 할 한자는 간지의 스물두 글자 뿐이다. 즉, 천간 열 글자,지지 열두 글자만 익히면 된다. 영어의 알파벳 숫자보다 적다. 간지의 간은 천간을 뜻하는데, 천간이란 하늘의 기운이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열 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십간이라고도 부른다. 간지의 나머지 한 글자인 지는 지지를 뜻하는데, 지지란 땅의 기운이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열두 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띠를 뜻하는 십이지라고 부른다. 간지의 각.. 2020. 3. 29.
음향과 오행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음양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먼저, 시간에 따라 움직인다. 사계절을 음양으로 구분하면, 봄과 여름은 성장하고 발산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양이고, 가을과 겨울은 수렴하고 응축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음이다. 음양이 나오면 그 다음 나오는 것은 오행이다. 우주의 질료인 목,화,토,금,수로 이루어진 오행은 2,000년 역사의 동양 문화에서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핵심 개념은 삶의 다양한 분야들과 연계가 되어 있다. 만약 사계절과 환절기를 오행과 결부시키면 어떻게 될까? 봄은 목, 여름은 화에 배속되고,가을은 금, 겨울은 수에 배속된다. 그리고 토는 계절을 매개하는 환절기에 속한다. 고정되지 않고, 순환한다는 관점에서 음양과 오행은 크게 다르지 않다. 동북아시아 삼국,중국,일본,한국이 음양오행과 친숙한 것은 세 나라가 .. 2020. 3. 26.
명리학의 음과양은 무엇일까 음과 양의 개념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다. 음양의 개념을 너무 고정된 것, 절대적인 것으로 믿어서는 안 된다. 음과 양을 정해진 무엇으로 규정하는 순간, 우리는 명리학의 세계로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하고 자기만의 틀에 갇히게 된다. 음과 양은 우주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원칙이자,우주적 요소를 설명하는 첫 출발점이다. 음과 양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면서 다른 것이고, 그러면서 동시에 같은 것이다. 보통음양 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게 남자와 여자다. 우주는 대립적인 요소로 이루어 진다.다시 말해서, 자아와 타자의 개념이 있고, 타자이 존재함으로써 내가 존재할 수 있다. 남과 여, 밝음과 어둠, 시작과 끝, 불과 물, 시간과 공간, 단단함과 부드러움,우익과 좌익,이 모든 ㄷ립적 요소들을 가리켜 어떤 것은 .. 2020. 3. 25.
사주에 대한 일반인들의 오해 명리학을 공부하면 제일 많이 듣는 소리가 제 사주가 나쁜가요 이다. 자신의 사주를 말한 뒤 내가 가만히 10초만 입을 다물고 있으면 대부분 제 사주가 그렇게 나쁜가요 라는 질문을 던진다 과연 사주에 나쁘고 좋음이 있을까? 사실 우주에 좋고 나쁜건 없다. 그저 우리의 관점일 뿐이다.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제일 처음 넘어야 할 장벽은 "인간에 대한 사기심"이다. 여기서 말하는 시기심이란 대체 무엇일까? 나보다 남들은 더 많이 가진것 같고 나는 못 사는데 다들 잘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생각하는 것이 바로 시기심이다. 시기심은 자신을 망치고, 자신이 이해해아 할 것들을 가로 막는다. 이 시기심을 넘어야 명리학 공부를 제대로 시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시기심은 어떻게 없앨까? 이 우주엔 좋고 나쁜 것과 우월한 .. 2020.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