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과 지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영어에서 알파벳이라는 고유의 문자 체계가 있듯이명리학에서는 간지,천간과 지지라는 스물두 글자의 고유한 문자가 있다. 간지는 명리학의 알파벳이다. 한자 때문에 명리학의 첫 단계를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우리가 명리학에서 익혀야 할 한자는 간지의 스물두 글자 뿐이다. 즉, 천간 열 글자,지지 열두 글자만 익히면 된다. 영어의 알파벳 숫자보다 적다. 간지의 간은 천간을 뜻하는데, 천간이란 하늘의 기운이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열 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십간이라고도 부른다. 간지의 나머지 한 글자인 지는 지지를 뜻하는데, 지지란 땅의 기운이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열두 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띠를 뜻하는 십이지라고 부른다. 간지의 각..
2020. 3. 29.
음향과 오행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음양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먼저, 시간에 따라 움직인다. 사계절을 음양으로 구분하면, 봄과 여름은 성장하고 발산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양이고, 가을과 겨울은 수렴하고 응축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음이다. 음양이 나오면 그 다음 나오는 것은 오행이다. 우주의 질료인 목,화,토,금,수로 이루어진 오행은 2,000년 역사의 동양 문화에서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핵심 개념은 삶의 다양한 분야들과 연계가 되어 있다. 만약 사계절과 환절기를 오행과 결부시키면 어떻게 될까? 봄은 목, 여름은 화에 배속되고,가을은 금, 겨울은 수에 배속된다. 그리고 토는 계절을 매개하는 환절기에 속한다. 고정되지 않고, 순환한다는 관점에서 음양과 오행은 크게 다르지 않다. 동북아시아 삼국,중국,일본,한국이 음양오행과 친숙한 것은 세 나라가 ..
2020. 3. 26.
명리학의 음과양은 무엇일까
음과 양의 개념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다. 음양의 개념을 너무 고정된 것, 절대적인 것으로 믿어서는 안 된다. 음과 양을 정해진 무엇으로 규정하는 순간, 우리는 명리학의 세계로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하고 자기만의 틀에 갇히게 된다. 음과 양은 우주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원칙이자,우주적 요소를 설명하는 첫 출발점이다. 음과 양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면서 다른 것이고, 그러면서 동시에 같은 것이다. 보통음양 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게 남자와 여자다. 우주는 대립적인 요소로 이루어 진다.다시 말해서, 자아와 타자의 개념이 있고, 타자이 존재함으로써 내가 존재할 수 있다. 남과 여, 밝음과 어둠, 시작과 끝, 불과 물, 시간과 공간, 단단함과 부드러움,우익과 좌익,이 모든 ㄷ립적 요소들을 가리켜 어떤 것은 ..
2020. 3. 25.
명리학이 미신과 잡설로 전략 해버린 이유들
명리학으로 자신의 삶을 분석할 때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가요? 중요한 건 글자 그대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속세 명리학이 지금 미신과 잡설로 전략해버린 이유는 다름아닌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사회의 구조와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밝지 못한 사람들이 명리학의 알파벳이라 할 수 잇는 천간 열 개(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와 지지 열두 개(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차적으로 배합하여 만들어낸 예산 가지 경우의 수인 육십갑자의 글자만 가지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섹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무척 많이 있다. 이는 현실적인 상황을 살피는 사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명리학 이론만 보고 판..
2020. 3. 25.